키보드/키보드 사용 꿀팁

윈도우에서 사용하던 키보드를 맥에서 사용하는 법 (ft. Karabiner Elelmanets)

PolarBear_333 2022. 4. 16. 00:00
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는 맥 유저를 위한 키보드 사용 팁을 알려드리는 두번째 시간입니다. 요즘에는 맥은 물론이고, 아이패드 사용자가 많아지면서 애플 기기에 사용이 적합한 기성품 키보드들도 점점 많이지고있긴 합니다. 로지텍의 키보드는 무선 멀티페어링과 윈도우,맥,iOS/Pad OS, 리눅스 등등 다양한 OS에 대응되도록 사용자가 사용하고 싶은 OS를 버튼만 토글하여 쉽게 바꿔 줄 수도 있습니다.

 

기계식 키보드로 옮기면, NuPhy Air시리즈나 키크론과 같은 제품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저처럼 커스텀 키보드를 맥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몇가지 불편한 제약 사항들이 있습니다.

 

맥에서 가장 상단의 펑션키들은 원래 멀티미디어와 각종 편의를 의한 조작키들이 할당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F1,F2는 디스플레이 밝기를 낮추거나 올리는데 사용되고, F4는 런치패드를 바로 켜주는 단축키로 쓰입니다. 볼륨 조절은 각각 F10,F11,F12 순서로 음소거, 불륨 낮추기, 볼륨 올리기로 세팅되어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재생 키나 볼륨 조절은 윈도우에도 있으니 작동하는 키의 순서가 Mac OS와 약간씩 차이는 나더라도 Fn와 펑션키를 같이 누른 상태로 조작은 가능하지만, 밝기 조절이나 런치패드는 직접 할당해주지 않으면 윈도우 환경이 디폴트 값으로 세팅된 대부분의 키보드에서는 제대로 작동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맥OS의 키보드 세팅값에 손이 익은 저같은 분들이 카라비너 앱을 이용해서 기계식 키보드를 비롯한 모든 키보드들을 애플 매직키보드와 똑같은 단축키로 바꿔주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1. 프로그램 다운로드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Karbiner Elements라는 프로그램을 검색합니다.

 

 

 

 

 

위의 스크린샷처럼 카라비너 다운로드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바로 다운로드 버튼이 있습니다. 제가 사용중인 아이맥 프로는 최신 OS인 Mac Os Monterey 이기 때문에 최신버전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Big Sur 보다 이전의 맥OS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사용중인 맥의 OS 버전과 대응되는 구버전 파일을 선택하여 다운받으셔야 합니다. Mac OS Catalina, 혹은 High Sierra 같은 구버전의 OS 사용자라면 반드시 버전을 체크 하시고 다운받으시길 바랍니다.

 

알맞는 버전의 설치 파일이 다운로드 되었다면 패키지 파일을 열어서 설치를 해줍니다. 이때, Mac OS에서 비밀 번호와 함께 보안 엑세스 허용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합니다.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목록에 진입해서 자물쇠 아이콘을 클릭하여 카라비너로 시작하는 모든 앱들을 체크하여 반드시 허용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두 체크하여 허용하였다면, 다시 자물쇠 아이콘을 클릭하여 잠궈 저장한 뒤 카라비너 앱을 실행하여 줍니다.

 

 

2. 키 지정 및 커스텀

 

카라비너 앱을 실행하여 원하는 세팅으로 단축키들이 작동하도록 값을 잡아줍니다. 저는 커스텀 키보드에서도 애플 매직키보드와 똑같이 작동하기를 원하므로, 상단 펑션키의 값을 매직 키보드와 똑같이 잡아주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스크린샷 이미지 처럼 세팅을 바꿔줄 키보드를 선택하여 줍니다. 저는 이미 세팅이 되어있지만, 세팅이 잡혀있지 않은 상태라면 모든 펑션키 구간에 어떠한 단축키도 지정되어있지 않은 상태여야 합니다. 각 키마다 원하는 작동을 해줄 수 있도록 하나하나 잡아주면 됩니다. 저는 말씀드린대로, 애플 매직키보드와 똑같이 작동하길 원하기 때문에 애플 매직키보드와 같은 배열로 키 맵핑을 해두었습니다.

 

 

 

 

 

 

 

 

 

저처럼 애플 매직키보드와 같은 값이 아니라 다른 설정을 원하신다고 해도, 충분히 개인의 편의에 맞춰 세팅을 잡을 수 있습니다. 미디어 컨트롤 이외에도 윈도우처럼 한영전환을 우측 하단 Alt키로 바꿔주고 싶다면 충분히 바꿔 주실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다룬 다른 블로그의 좋은 글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링크로 대체하겠습니다.

 

https://ggugy.com/entry/%EB%A7%A5%EB%B6%81-%ED%95%9C%EC%98%81%EC%A0%84%ED%99%98-%EC%B9%B4%EB%9D%BC%EB%B9%84%EB%84%88Karabiner%EB%A1%9C-%EC%9C%88%EB%8F%84%EC%9A%B0%EC%B2%98%EB%9F%BC-%EC%82%AC%EC%9A%A9%ED%95%98%EA%B8%B0

 

맥북 한영전환, 카라비너(Karabiner)로 윈도우처럼 사용하기

윈도우만 사용하다가 맥OS로 넘어온 사람이라면 한두가지가 불편한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처음에는 무엇이든 그럴수 있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맥북을 사용하면서 느낀 점은 할수 없는 것 빼고

ggugy.com

 

https://blog.naver.com/hankboy/221200885234

 

카라비너(Karabiner-Elements)로 맥 키보드 한영/한자 전환 키 설정하기

2022.3.16 Update : shift+space로 한영전환 옵션 추가 (맥os 및 패러랠즈 동일하게 적용) Karabiner-El...

blog.naver.com

 

 

3. 적용 후 사용하기

 

키맵핑을 원하는 대로 지정하셨다면, 반드시 맥을 재시동해야 적용이 됩니다. 맥을 재시동 한 이후에 키보드를 처음 연결했을 때처럼 좌우 쉬프트 옆의 키를 입력하라는 지시가 뜨게 됩니다. 이 설정을 마친 후, 처음 카리비너 앱을 설치 했을때와 같이 다시 보안 엑세스를 완전히 허용해주면, 재부팅 이전에 설정해준대로 키보드의 키들이 작동하게 될겁니다. 키보드 설정으로 진입하면, 카라비너 앱을 통해서 가상 키보드로서 작동하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키보드로 인식되면 정상적으로 작동됩니다. 이 때, 원래 디폴트 값으로, 윈도우 키 위치에서 커맨드키로 작동하게 되는데, 윈도우 기준 Alt키 위치로 커맨드키가 작동하도록 바꿔주고 싶다면 위 스크린샷 처럼 보조키 설정에서 카라비너 가상 키보드를 선택 한 뒤, Option과 Command키의 위치를 서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보조키 설정까지 바꿔주고 제대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셨다면 이제 윈도우 배열로 디폴트 값이 정해져있던 키보드가 애플의 매직키보드와 완전히 같은 방식으로 작동할 것입니다.

 

 

에필로그

 

키크론같은 기성품 키보드는 마음에 들지 않아 꼭 커스텀 키보드를 쓰고싶은데, 맥에 딱 알맞는 키로 작동하길 원하신다면 이렇게 카라비너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애플의 매직 키보드와 똑같이 키가 입력되도록 세팅을 바꿔 줄 수 있습니다.

 

혹은, 윈도우에서 맥으로 이주한지 얼마 되지 않아 기존에 사용중인 애플의 키보드의 입력 배열이 불편하시다면, 마찬가지로 카라비너를 이용해서 바꿔줄 수도 있습니다. 한영전환이 Caps Lock 위치에 있다보니 습관적으로 Alt를 누르면서 불편하셨다면 카라비너를 이용해서 바꾸줄 수도 있고, 윈도우에서 컨트롤키의 역할을 하는 Command키를 윈도우와 같은 컨트롤 키 위치로 바꿔주는 것도 가능합니다.

 

개발자 분들 중에서는 펑션키가 없는 미니배열 키보드를 사용하는 분들도 꽤 많은데, 맥북의 키보드 백라이트나 화면 밝기 조절을 자주하시는 분들은 펑션키가 없는 미니 키보드라도 이렇게 카리비너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조작 할 수 있는키를 지정하실수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