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취향에 맞는 스위치를 찾고 있다면
본문 바로가기

생각하는 북극곰 (사설)

나의 취향에 맞는 스위치를 찾고 있다면

728x90
반응형

프롤로그


키보드를 구매하면서 발생하는 고민들은 어떤 키보드 제조사와 디자인인가, 스위치는 어떤 타입인가를 두고 주로 고민하게 될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 중에서도 수많은 스위치 중 어떤 것을 골라야 하나 망설이는 분들을 위한 스위치 안내 가이드 입니다.


스위치 종류

키보드는 작동 방식에 따라서 크게 멤브레인, 펜타그래프, 정전용량 무접점, 광축, 기계식으로 나뉩니다. 가장 저렴하고 널리 쓰이며 사무용으로 쓰기 적합하도록 소음을 줄인 키보드가 멤브레인 입니다. 브랜드 데스크탑 PC를 사면 기본 번들로 제공하는 키보드들이 대부분 멤브레인 방식이죠. 제작단가가 매우 저렴하고 고장도 잘 나지않아 가장 널리 쓰입니다. 펜타그래프는 얇은 두께 때문에 주로 노트북이나 컴팩트한 크기를 요구하는 휴대용 무선 키보드에 많이 쓰입니다.

무접점

정전용량 무접점과 광축 키보드는 기계식 키보드와 달리 스위치의 물리적 접점없이 감지되는 압력을 인식하는 작동 원리 입니다. 두가지 다 무접점은 맞지만, 내부 구조나 키감은 전혀 다르기 때문에 저는 정전 용량 무접점과 광축으로 구분하여 부릅니다.

정전용량 무접점은 노뿌나 토프레 무접점 키보드들이 있습니다. 노뿌 무접점은 중국의 NIZ EC사에서 특허가 만료된 토프레 무접점의 기술을 모방하여, 실리콘 러버돔 재질로 단가를 낮춘 제품입니다. 국내에서는 한성,콕스,앱코 세가지 회사에서 주로 노뿌 무접점 키보드를 제작하여 판매중입니다. 실리콘 재질의 러버돔 때문에 토프레 무접점보다 좀 더 부러운 키감과 '보글보글'이라는 소리를 들려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노뿌 무접점의 또다른 장점으로는 일반적인 체리식 기계식 스위치들과 비슷한 십자형의 키캡 고정 스탬을 하고 있어서 다른 기계식 키보드의 키캡과 호환이 된다는 점도 있습니다. 이런 키캡 체결방식의 차이 때문에 토프레 무접점 키보드와의 타건감 차이는 더욱 두드러집니다.

이미지 출처: https://coolenjoy.net/bbs/37/147878



토프레 무접점은 실리콘이 아닌 합성 고무 소재의 러버돔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실리콘 러버돔을 하고있는 노뿌 무접점보다 체감 압력이 높고, 훨씬 반발력이 있어서 도각거리는 타건감을 지니고 있습니다. 토프레 무접점 키보드는 스위치 제조사인 토프레의 리얼포스, PFU의 해피해킹, 레오폴드의 FC660C와 FC980C시리즈가 있습니다. 토프레 키보드들은 각각의 제조사별로 키감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레오폴드는 토프레사로부터 러버돔 부분만 공급을 받고 러버돔 아래 장착되는 감압 스프링과 다른 부품들을 자체적으로 생산해서 그 키감의 차이가 가장 큽니다.

토프레 무접점은 노뿌 무접점보다 키압 옵션이 하나 더 있습니다. 여기에 저소음과 일반, 균등과 차등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토프레의 키압 옵션은 보통 30g, 45g, 50g의 세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토프레의 일반 스위치는 멤브레인 대비 40%정도의 소음감소를, 저소음 스의치는 일반 토프레 스위치 대비 30%의 소음감소를 이뤘다고 합니다. 다만, 일반 스위치의 경우, 키압에 따라 도각거림에 차이가 있고, 키캡 마찰음이 큰 편이라 제 기준으로 생각만큼 멤브레인 대비 40%이상의 소음이 감소된 수치가 크게 체감될 정도로 조용하지는 않았습니다.

균등과 차등 옵션은 키보드 내부에 구간별 키압차이 유무를 의미합니다. 균등은 말 그대로 모든 구간의 스위치가 균일한 키압을 내도록 세팅된 제품이고, 차등은 새끼 손가락부터 검지까지 최대로 누를 수 있는 힘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서 구간별로 입력압을 다르게 세팅해둔 제품입니다. 문서작업을 많이 하는 분들일수록 타입 양이 많기 때문에 손의 피로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저압의 30g 차등 옵션을 고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토프레 무접점은 노뿌와 달리 원형의 키캡 스탬 구조를 취하고 있어 다른 기계식 키보드의 키캡과 호환이 되지 않습니다. 체결 방식의 차이 때문에 키캡 마찰음이나 타건감에서도 다소 차이가 납니다. 쿨러마스터의 노바터치처럼 십자 스탬 구조를 가진 희귀한 모델이 있긴 하나, 현재는 단종되어 매우 구하기 힘든 녀석입니다.

토프레 무접점 키보드는 기본 가격도 매우 비싸지만, 생산 물량이 한정적이어서 그마저도 구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키캡 교체를 동한 꾸미기도 제한적이구요. 노뿌와는 키감이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취향이 많이 갈리는 부분이라 둘중에 단순 비교를 통한 우열 가리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토프레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쉽고 빠르게 구할 수 있는 노뿌무접점 키보드들이 진입장병이 낮기 때문에 토프레 무접점에 비해 더 널리 쓰이긴 합니다.


광축/기계식

광축과 기계식은 스위치 내부 구조가 비슷하기 때문에 키감도 거의 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오해하시는 것중에 하나가 광축은 청축의 일종이다라고 여기는 점입니다. 이는 많은 PC방에서 사용하는 광축 키보드들이 청축처럼 클릭음이 나는 광축 스위치를 사용해서 생긴듯 한데, 사실 광축은 접점 방식이 다를 뿐, 전체적인 구조와 키감은 기계식과 같습니다. 대부분의 광축 키보드도 기계식처럼 리니어, 클릭, 택타일의 세가지 옵션이 있기 때문에 광축=청축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이미지 출처: https://coolenjoy.net/bbs/37/147878
카일 광축 스위치의 구조 이미지 입니다. 아래로 쏘는 적외선 레이저로 입력이 이뤄지게 됩니다.


광축은 영어로 Optical스위치로 불리는데, 이런 이름이 붙은 이유는 기계식과 똑같이 스프링과 슬라이더 스탬이 있는 구조는 동일하지만, 금속의 접점핀 대신에 스위치 내부를 관통하는 광학 레이저를 감지하는 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스위치 내부의 슬라이더가 왕복운동을 하면서 입력 지점으로 세팅된 높이에 다르면, 광학 레이저가 반대편의 센서까지 통과되어 키 입력이 이뤄지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기존의 기계식과 똑같은 키감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훨씬 빠른 폴링레이트가 가능한 작동 방식 입니다. 광학식이기 때문에 물리적인 스위치의 왕복운동에 따른 입력 지연이나 키씹힘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런 스위치 특징 때문에 광축은 무접점으로도 분류되기도 합니다. 기계식 스위치 대비 물리적 접점이 없기 때문에 틀린말은 아니지만, 기존에 무접점으로 널리 알려진 정전용량 방식의 무접점과 혼동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일례로, 자체계발한 광축 무접점을 개발한 바밀로의 로즈축과 데이지 축은 무접점으로 광고를 하는데, 광축과 똑같은 스위치 이기 때문에 기계식과 거의 유사한 키감을 갖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광고는 물론 인터넷 오픈몰에서도 무접점으로만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혼동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기계식 스위치는 제 블로그에서 가장 많이 다룬 스위치 방식입니다. 전통적으로 슬라이더 스탬과 스프링, 접점핀과 이 모든 것을 담은 플라스틱 소재의 하우징을 한 구조입니다. 통짜 실리콘 러버돔으로 이뤄진 멤브레인과 달리, 개별 스위치 하나하나가 따로 독립되어 작동하기 때문에, 어느 한부분이 고장나도 고장난 부분의 스위치만 새로 교체하면 계속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미지 출처: http://typoneshop.com/product/cherry-standard-mx-switch/28/
이미지 출처: http://www.kbdmania.net/xe/tipandtech/9255883



초창기 컴퓨터가 막 개발되어 보급되던 시기에는 거의 모든 키보드들이 이런 기계식의 스위치를 하고 있었습니다. 지금 우리가 기계식의 원조라고 알고있는 체리사 이외에도 알프스라는 스위치가 널리 쓰였습니다. 알프스는 이후에 나타난 멤브레인 키보드의 저가 공세 이후 더이상 스위치 제조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올드 스위치들은 스탬 체결 구조나 하우징의 형상에 차이가 있어서 체리스위치와 기판이 전혀 호환되지 않습니다. 다만 기본적인 작동 구조와 원리는 같습니다.

알프스 스위치를 비롯한 빈티지 기계식 스위치들 입니다. 이미지 출처: https://coolenjoy.net/bbs/34/1384518?sfl=wr_subject&stx=%EC%BD%EF%BF%BD%EC%8A%A4&sst=wr_datetime&sod=desc&sop=and&spt=-153682&page=10


체리사의 스위치 특허 만료를 전후로 유사 체리 스위치 공급사가 늘어나게 되는데, 요즘 대부분의 키보드 사용자들이 흔하게 알법한 카일,게이트론,오테뮤 등등이 대표적입니다. 여기에 에버글라이드, 후아노, JWK, SP Star 등등의 여러 특주 스위치 제조사들도 많이 생겨났죠. 이런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를 오늘날 우리가 맛보게 된 것은 체리사가 끈질기게 살아남아 스위치 규격의 통일화에 일조한 측면도 꽤 크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즐겨 쓰는 핫스왑 키보드도 유사 체리 규격으로 스위치의 구조가 통일된 덕분이죠.


사용 목적에 따른 스위치 추천

가장 많은 관심사는 아마 게임용 키보드일 것이라 예상합니다. 게임에도 여러 장르에 따라 추천하는 스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장르별로 추천을 드려보자면,

빠르고 정확한 입력을 요구하는 리듬게임 유저들에게는 리니어 계열 스위치를 추천합니다. 리겜 유저들에게 가장 좋은 키보드 스위치는 리니어 광축과 은축입니다. 은축의 경우는 낮은 키압과 키 트래블 거리 덕분에 기계식 스위치 중에서 가장 입력 속도가 빠른 스위치 입니다. 리니어 타입의 광축은 광축의 작동 원리상 키씹힘과 빠른 폴링레이트를 지원하기 때문에 최대 26ms 차이로 판정이 갈리는 리겜류에서 유리한 스위치 입니다.

다만 은축은 워낙 가벼운 스위치 이기 때문에 저와 같이 적당한 압력을 원하는 중~고압 유저에게는 적응하기 어려운 스위치 입니다. 저압 스위치에 대한 불호가 강한 분들에게는 적축이나 황축, 걸림이 있는 택타일을 원하시는 경우는 갈축을 추천 합니다. 걸림이 강한 특주 택타일이나 청축같은 클릭 계열은 아무래도 리듬게임의 빡빡한 판정에 제대로 반응이 안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저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리듬게임 사용자의 고민중 하나는 소음 일텐데요, 빠르게 많은 채보를 쳐야하는 장르의 특성상 저소음 키보드를 사용해도 꽤나 시끄럽습니다. 이럴 경우에 찾는 것이 무한 동시입력을 지원하는 멤브레인 키보드입니다. 커세어의 K57모델은 멤브레인 키보드 중에서 흔치 않은 무한 동시입력과 잘 잡힌 통울림, 멤브레인의 저소음, 게임을 위한 빠른 응답 속도와 메크로 기능까지 지원하기 때문에 조용한 리듬게임용 키보드를 찾고있다면 괜찮은 선택지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멤브레인임에도 왠만한 기계식 키보드 보다 비싼 가격은 단점입니다.

광축/옵티컬 스위치를 찾는다면 다소 금액은 비싸지만 ROG Strix나 레이저 등의 게이밍 브랜드 키보드들은 추천합니다. 이런 키보드들은 게이밍에 특화된 디자인 만큼이나 기능적인 부분에도 게이밍에 특화 되어서 폴링레이트 조절과 메크로키 기능을 지원합니다. 이런 키보드들은 제한적이지만, 아이템 사용 단축키 등의 메크로키 사용이 가능한 일부 FPS게임용으로도 아주 편리합니다.


손목 건강을 위해 낮은 높이나 얕은 키트래블의 스위치를 원하신다면, 기계식 중에서는 LP타입의 스위치를 장착한 키보드나 펜타그래프 키보드를 추천합니다. 조용한 업무용으로는 펜타그래프 타입이, 게임용으로는 LP타입의 기계식이 적합합니다. 이런 얇은 키보드들은 대부분 휴대성을 위해 개발된 것이라 무선 모델이 많은데, 게임용으로 사용하면서 무선의 입력지연이 걱정되는 분들이라면 로지텍의 G913시리즈를 추천합니다.


사무용이나 문서 작업용으로 적합한 스위치를 찾는 분이시라면 소음 문제를 최우선으로 고려할 것입니다. 기계식은 저소음 스위치들이 있습니다. 체리사의 저소음 적축이 사무용 기계식 키보드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데, 특유의 먹먹한 키감 때문에 싫어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런 키감이 싫은 분들은 게이트론이나 카일의 저소음 갈축, 정전용량 무접점을 추천합니다. 정전용량 무접점 키보드의 경우 장시간 타입에 적합한 저압 옵션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타입양이 절대적으로 많은 소설 작가나 코딩 프로그램을 다루는 개발자 분들이 널리 애용하는 키보드들입니다.

정전용량 무접점 키보드로 문서,작업, 게임등의 멀티롤 목적으로 사용할 키보드를 찾고계신다면 리얼포스 키보드에 APC 옵션을 선택하여 구매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APC는 Actuation Point Control의 약자인데, 접점이 없는 정전용량 방식의 장점을 살려서 입력이 이뤄지는 높이를 조절 할 수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 APC 기능이 있는 리얼포스를 구입하게 된다면 문서 작업시에는 오탈자 방지를 위해 입력지점을 깊게 세팅을 해두었다가 빠른 반응속도를 필요로하는 게임시에는 입력지점을 얕게 바꿔줄 수 있습니다.


이외에 조금 특이한 입력 방식의 키보드들

앞서 설명드린 여러 작동 방식의 키보드 외에도 특이한 키보드들이 있습니다. 바로 메카 멤브레인과 플런저 방식의 키보드들 입니다. 플런저 타입 키보드는 멤프레인 처럼 러버돔이 눌리는 방식이지만, 러버돔 위에 기계식의 키감을 위한 스위치 구조물이 더해진 방식의 스위치 입니다. 플런저 타입 스위치는 체리식 스위치의 특허 만료 이전에 멤브레인의 저렴한 가격에 기계식의 키감을 위해 개발된 스위치로, 현재는 가격적인 메리트가 많이 감소되어 일부 모델을 제외하고 판매하지 않고 있습니다.

플런저 타입의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멤브레인과 거의 유사한 입력방식을 취하고 있지만, 내부 구조는 정전 용량 무접점과 비슷합니다. 무접점 키보드에 대해 비판적인 사람들은 리얼포스를 두고 비싼 멤브레인이라고 놀리는데, 사실 제대로 놀리려면 비싼 플런저라고 놀리는게 더 맞을 정도로 내부 구조의 형상이 정전용량 무접점과 매우 비슷합니다.

이미지 출처: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orovo&logNo=220948973920



매우 저가의 플런저 키보드는 멤브레인 키보드 처럼 기계식 키보드의 독자규격 키캡 스탬을 하고 있어 키캡 교체가 제한되지만, 체리식의 십자 스탬 체결 구조를 갖고있는 일부 플런저 키보드에서는 기계식 키보드처럼 키캡 교체를 통한 꾸미기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예전에 한성에서 판매했던 일부 플런저 키보드 모델은 기계식 키보드의 키캡과 호환 되는 스탬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s://www.bodnara.co.kr/bbs/bbs.html?D=20&num=131166



메카 멤브레인 방식의 키보드는 멤브레인 키보드와 구조는 같지만, 청축처럼 클릭음과 걸림을 낼 수있는 걸쇠를 추가하여 멤브레인 러버돔의 반발력과 청축의 경쾌함을 결합한 독특한 키감을 주는 키보드 입니다. 메카 멤브레인 키보드는 레이저의 오나타 V2가 현재 판매중입니다.


에필로그

오늘은 다양한 작동방식의 키보드 스위치를 소개하고 설명하는 글을 준비하였습니다. 정말 다양한 제조사와 작동 방식의 스위치들이 있는데, 소비자 입장에서 취향에 맞는 세밀한 선택지가 많다는 점에서 장점이지만 한편으로 키보드에 대해 잘 모르는 입문자 입장에서는 너무 많은 종류의 키보드 스위치 때문에 선택장애가 올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습니다.

기계식의 경우는 여러가지 스위치를 맛볼 수 있는 스위치 테스터를 구매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직접 키보드에 장착된 타건감과 100% 일치하지는 않지만, 대략적인 스위치의 특성이나 키감들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모든 스위치 세트를 전부 다 사기에는 그 비용부담도 있지만, 구매하고 막상 예상했던 키감과 다른 경우에는 중고로 되팔도 쉽지 않기 때문에 미리 낱개로 구매해서 테스트 과정을 충분히 거치는 것입니다.

부디 이 글로 여러분의 사용 목적과 취향에 잘 맞는 키보드 결정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이미지를 가져온 출처에 다양한 키보드 방식에 대해 자세한 설명과 리뷰가 있으니 링크를 달아두도록 하겠습니다.


링크:

http://www.kbdmania.net/xe/tipandtech/9255883

Tip & Tech : KBDMania - 체리 스위치의 소음에 대한 고찰

이번시간엔 체리 축의 소음 발생 원인을 알아 볼 예정입니다. 체리 축의 제품군은 꽤 여러가지입니다만, 종류는 크게 클릭/넌클릭(택타일)/리니어로 나눌 수 있습니다. 토글키의 경우는 토글만

www.kbdmania.net

https://coolenjoy.net/bbs/34/1384518?sfl=wr_subject&stx=%EC%BD%EF%BF%BD%EC%8A%A4&sst=wr_datetime&sod=desc&sop=and&spt=-153682&page=10

쿨엔조이,쿨앤조이 coolenjoy, cooln, 쿨엔, 검은동네

pc,컴퓨터, 하드웨어,CPU오버클럭,VGA쿨러,오버클럭,PC튜닝,케이스튜닝,cpu,vga

coolenjoy.net

https://coolenjoy.net/bbs/37/147878

쿨엔조이,쿨앤조이 coolenjoy, cooln, 쿨엔, 검은동네

pc,컴퓨터, 하드웨어,CPU오버클럭,VGA쿨러,오버클럭,PC튜닝,케이스튜닝,cpu,vga

coolenjoy.net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orovo&logNo=220948973920

플런저 키보드란?

플런저 키보드란? 플러저 키보드는 기본적으로 멤브레인 키보드의 일종이다. 멤브레인 키보드와 같이 러버...

blog.naver.com

https://www.bodnara.co.kr/bbs/bbs.html?D=20&num=131166

블링블링 무지개 빛깔의 플런저 키보드! 한성 GTune MHF50 Double Shot :: 보드나라

커뮤니티   안녕하세요. 프링글스 입니다. 플런저 키보드는 기계식 키보드와 비슷한 키감과 소리를 느낄 수 있으면서도 가격은 상당히 저렴하기 때문에 최근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번

www.bodnara.co.kr

728x90
반응형